[여성가족부] 교제폭력·스토킹 피해자 맞춤형 사업 추진 - 운영기관 현장 방문 및 현황 점검

운영자 25-03-07 10:14 78 hit

급 주거지원, 치료회복 프로그램 등 교제폭력·스토킹 피해자 위한 맞춤형 사업 추진

- 5일(수), 교제폭력·스토킹 피해자 보호·지원 사업 운영기관 현장 방문

- 지난해 긴급 주거지원 272명, 치료회복 프로그램 356명 지원



김기남 여성가족부 기획조정실장은 5일(수) 오후 서울xhzld 소재 교제폭력·스토킹 피해자 지원 사업 운영기관을 방문합니다.

 

이번 방문은 지난해 발표한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 방안’의 후속 조치로, 피해자 맞춤형 긴급 주거지원 및 치료회복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종사자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여성가족부는 교제폭력·스토킹 피해자의 특성을 고려한 상담, 주거지원, 치료회복 프로그램, 무료법률지원 등 맞춤형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피해자 보호를 위해 임시 주거지를 제공하는 긴급 주거지원은'23년도 6개 시·도 시범사업 시행 후 지난해에 17개 시·도 전체로 확대되어 272명이 보호를 받았습니다.

 

그동안 긴급 주거지원은 피해자에게 원룸·오피스텔 등 고정형 쉼터를 제공해 왔으나, 올해부터 피해자의 수요를 고려해 다양한 형태의 숙소를 지원할 수 있도록 지침을 개정하여 시행 중입니다.

 

5개 시·도*에서는 임대주택 주거지원을 실시해 긴급 주거지원 종료 후 추가 지원이 필요한 43명에게 안정적인 주거공간을 제공하였습니다.

* 부산, 대전, 경기, 강원, 전남



또한, 치료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난해 356명에게 1,281건의 심리치료를 지원하였습니다. 


 

아울러 지난해 ‘한국여성변호사회’를 무료법률 지원기관으로 선정하여 교제폭력·스토킹 피해자에 대한 전문적인 법률상담 및 소송지원 등 법률적 조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찾아가는 법률상담 등을 시행해 법률지원 서비스의 지역 간 편차를 해소하여 피해자 법률구조를 활성화할 예정입니다.


김기남 여성가족부 기획조정실장은 “교제폭력·스토킹 피해자 지원 사업이 전국으로 확대되어 더 많은 피해자분들이 보호·지원받을 수 있게 된 것은 일선에서 최선을 다하고 계시는 현장 종사자 여러분들 덕분이다.”라며, “여성가족부는 교제폭력·스토킹 등 신종폭력 피해자를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경찰, 보호시설 등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피해자 지원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