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성범죄 피해, 언제 어디서나 1366으로 상담 받고, 가까운 디성센터에서 지원받으세요.

운영자 25-04-25 09:44 22 hit

디지털성범죄 피해, 언제 어디서나 1366으로 상담 받고, 가까운 디성센터에서 지원받으세요.

 

- 17(), 중앙·지역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본격 출범

- 피해 상담전화 1366으로 일원화, 전국 어디서든 36524시간 디지털성범죄 피해상담 가능

 

오는 17()부터 전국의 디지털성범죄 피해 지원기관이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로 전환운영되고, 상담창구가 1366*으로 일원화되어 

  디지털성범죄 피해자에게 보다 신속한 지원이 가능해진다.

 

* 여성긴급전화136636524시간 운영되며, 전국 19개 센터에서 긴급·위기상담, 긴급피난처까지 운영하고 있음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하 인권진흥원)에 따르면 17일부터 개정된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성폭력방지법*)이 시행됨에 따라 중앙·지역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본격 출범한다.

 

* 불법촬영물 등의 삭제 지원 주체를 국가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로 확대 (7조의3), 중앙 및 지역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설치의 법적 

  근거 마련(7조의4)

 

’18년부터 운영된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는 피해 상담 및 삭제 지원 뿐 아니라,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 교육·컨설팅, 지역 센터 지원 등

    신규 업무를 추가해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이하 중앙 디성센터)로 확대 출범하며,

 

ㅇ 지역 특화상담소와 지역 지원기관(서울, 경기, 인천, 부산)은 지역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이하 지역 디성센터)로 전환되어 

   전국 17개 시·도에서 운영된다.

 

ㅇ 또한, 중앙 및 지역 디성센터가 성폭력방지법에 근거한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보호지원 기관임을 널리 알리기 위해 상징물(엠블럼)을 

   제작배포하였다.


또한 전국의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기관의 상담 전화번호가 각기 달라 기억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피해 상담 전화를 

   일원화하여, 앞으로는 언제든 국번 없이 1366으로 전화하면 디성센터로 연결이 가능하다.

 

ㅇ 이는 지난해 116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이미지 합성 기술(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강화 방안의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추진되어

   시범운영(’24.12~’25.3)을 마치고 417()부터 본격 운영된다.

 

한편, 17() 오후 1630분 인권진흥원(서울 중구)에서 중앙 디성센터 확대 출범을 알리는 현판식을 개최한다.

 

ㅇ 이날 현판식은 중앙 디성센터의 새로운 도약을 대내외에 널리 알리고 핵심가치를 나누는 자리로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 이인선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하여 축하의 인사말을 전할 예정이다.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은 이번 성폭력방지법개정법 시행과 함께 출범하는 중앙·지역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와 36524시간 

  상담이 가능한 1366을 통해 피해영상물 확산 방지를 위한 최적 시간(골든타임)을 확보하고, 신속히 피해자를 지원하는데 보다 도움이 될 것

  이라고 강조하며,

 

중앙 및 지역 디성센터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보호지원의 주관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신보라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원장은 지난 6년간 133만 건의 상담·삭제 등 피해 지원을 위해 최일선에서 노력해 온 중앙 디성센터가

   이제 국가 차원의 디지털성범죄 대응 종합기관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시점에 있다.”라며,

 

중앙 디성센터는 전국 지역 디성센터와 견고한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피해자의 존엄과 일상 회복을 위한 맞춤형 통합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선제적 대응 방안 마련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